건축일을 시작하고 여러 해가 지났지만 아직도 명확히 말하기 힘든 부분은 적절한 건축 비용이다. 가장 궁금 하지만 너무 다양하고 마땅한 비교 대상도 없으며 어디 정해진 규정이나 규칙도 없기에 우리가 가장 먼저 부딪치는 난관이다.
그렇다고 하들 어쩌겠는가, 내 집을 가진 다는 건 단순 소유에 의미를 넘어 그 공간을 완전히 지배하는 의미이기도 하기에 우리는 알아야 할 것들이 많다.
건축 비용은 어떤 기준으로 책정이 되는가?
여러 건축업체를 알아보다 보면 알게 되는 사실은 건축 면적의 전체 금액이 아닌 1평의 금액으로 설명을 한다는 것이다. 사실 건축에서는 평보다는 1제곱미터가 더 많이 사용되지만 우리나라는 평의 개념이 널리 사용되고 있어 많은 업체들이 1평으로 금액을 산정해 견적서를 발행한다.
그럼 왜 그렇게 대체로 다른 금액이 발생하는 것일까? 우선 골조다. 골조의 선택은 건축비용의 약 70% 정도를 차지할 만큼 중요하다. 내가 선택하는 골조가 어떠냐에 따라 금액이 평당 많게는 500만 원 적게는 200만 원 정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건 몰라도 골조에 대해 아주 자세히 알아보는 것이 좋다.
그다음은 내장 마감의 종류와 타입이다. 이건 지극히 개인적인 영역으로 본인이 원하는 취향을 건축업체와 조율하며 정할 수 있는데 가격이 많이 발생하는 내장은 목재, 바닥 마감재, 난방 방식, 새시의 종류와 크기 이렇게 보면 된다. 그 외의 내용은 금액에서 크게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 공사의 진행 방식과 시기다. 공사를 진행하는데 현장건축인지, 모듈건축인지, 혹은 설치형 건축인지에 따라 금액에 차이가 발생하다. 그런 이유로 철근콘크리트 건물은 현장건축 밖에 안되기 때문에 비용이 가장 비싼 이유 이기도 하다.
또한 부수적인 구조물 예를 들어 데크, 보일러실, 온실, 테라스 등 그 외 구조물을 원할경우에도 건축비용이 추가된다.
여기서 잠깐!! 체류형 쉼터 10평형 경량철골 모델 베스트 3!! 확인해 보세요.
경량 철골 골조로 제작하는 체류형 쉼터 10평 (3m x 9m) 지금 제작해야 합니다.
체류형 쉼터를 현재 등록받는 자자체가 많습니다. 12월 시행이기 때문에 앞으로 3개월 정도 남았죠. 그럼 모델별로 9~10평 정도 경량 철골 체류형 쉼터를 알아보고, 취향에 맞도록 준비해 보시죠.
skyship.tistory.com
그럼 어떤 건축이 좋고 금액을 얼마가 적정한가?
다시 한번 말하지만 정말 어려운 문제다. 건축이라 하나의 건물을 완성하기 위해서 종합적으로 하는 일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뭐가 답이다'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가장 중요한 건 본인이 골조의 종류에 대해 깊게 생각하고 골조를 먼저 선택하면 어느 정도 답은 나온다.
먼저 철/콘의 경우는 대략적인 금액이 평당 600~800 선이다. 물론 이보다 저렴한 것도, 비싼 것도 있다. 하지만 이 정도 금액 안에서 생각하고 건축업체를 비교해 본다면 크게 낭패를 보지 않을 것이다.
목조의 경우는 평당 480~600 선이다. 목조는 일단 구조재의 경우 전량 수입하기 때문에 자제비용이 비싸다. 물론 그런 걸 감안하고도 좋은 업체에 맡기면 평생을 가는 집도 많다.
하지만 나무라는 자제의 한계는 분명하기 때문에 목조로 결정하신 경우 잘 알아보고 위에 얘기한 금액대에서 선택하면 원하는 건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경량 철골의 경우는 필자가 현재 회사를 운영 중이기 때문에 자세히 알 수 있다. 평당 450~600선이다. 과거 경량 철골의 경우는 저렴한 건축물로 오해를 받아 안 좋은 건물, 혹은 추운 건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현재는 내진에 따른 철골은 기본이고 내부에 들어가는 패널부터 단열재까지 모두 설계도에 나와 있는 데로 제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4계절이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단연 가성비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과거에 비해 건축비용도 많이 증가했다. 과거 아주 저렴한 금액은 평당 300 정도이었으며 평균 350~450 정도에 제작이 가능했지만 2023년 기준으로 그렇게 하는 업체는 보기 드물다.
하지만 필자가 운영하는 '스카이쉽'은 평당 350만 원으로 제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정확히 어떻게 그런 비용이 나오는지부터 어떻게 만드는지 까지 다시 포스팅을 준비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사항은 010-3783-5462로 연락 주시면 상담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축 이야기(농막, 체류형 쉼터, 일반 건축물, 증축, 골조 제작 등) > 건축 견적 직접 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크 시공 금액에 대한 이해 (0) | 2023.11.18 |
---|---|
경량 철골 주택, 똑똑하게 확인하고 합리적으로 건축 하기!! (1) | 2023.11.15 |
전원주택 직영공사 할 때 시공사 선정 이렇게 해보세요~ (0) | 2023.03.06 |
전원주택 건축의 비용(평당가 비교!!) (0) | 2023.03.06 |
전원주택 건축 어떻게 해야지?! 바로 확인!! (0) | 2023.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