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축 이야기(농막, 체류형 쉼터, 일반 건축물, 증축, 골조 제작 등)111 3m X 9m 체류형 쉼터 / 가설 건축물 2) 골조에 eps페널(샌드위치 판넬) 시공 저번 포스팅에서 제작된 골조에 eps 페널을 시공합니다. 이 건물의 건물주분은 가설건축물이지만 준공용으로 제작을 원하셔서 단열재는 eps 페널은 준불연 100t를 사용하고, 내부에 가등급 인슐레이션 140mm를 시공했습니다. 한쪽 벽에서부터 세워 시공합니다. 시공방법에서 가로로 시공하는 것과 세로로 시공하는 방법이 있는데 가로로 시공하는 경우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량이 많지 않지만 시공인원이 많이 필요하고 경우에 따라 장비가 필요합니다. 세로시공의 경우 페널의 최대 크기가 3m를 넘는 경우가 많이 없기 때문에 혼자서도 시공이 가능하지만 이음세 부분에 폼을 시공하는 량이나 많은 제단과 페널의 개수가 많아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저희는 인원이 많지 않은 관계로 세로시공을 주로 하고 있습니다. .. 2024. 11. 8. 3m X 9m 체류형 쉼터 / 가설 건축물 1) 기초부터 골조 제작까지 3m x 9m는 약 8평이 조금 넘습니다. 체류형 쉼터는 10평까지 가능하죠. 그런데 8평으로 제작하는 이유는 뭘까요? 일단 기본적으로 모듈 형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아 운송을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같은 지역인 경우 이보다 더 크게 제작이 가능하지만 지역을 넘어가거나 길이 협소한 경우 가장 간편하게 이동이 가능한 최대 크기는 3m x 9m입니다. 그런 이유로 많이 선택하는 사이즈인 거죠. 또한 나중에 장소를 이동하거나 철거, 재 판매 시에도 유용합니다. 오늘은 현장에서 제작한 가설 건축물 제작 과정을 소개하겠습니다. 체류형 쉼터로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선 기초작업을 진행합니다. 체류형 쉼터를 계획하시는 분들은 사실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기.. 2024. 11. 7. 10평 경량 철골 주택 제작 과정!!) 5. 완결//완성 영상 총 3주간의 공사를 마무리하고 최종적인 모습을 보여 드리면 세부적인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공사 과정에서 들어간 비용은 평당 400만 원으로 추가 비용은 현장 건축비용 600만 원입니다. 전체적으로 메탈사이딩 마감을 하고 지붕은 징크 패널을 사용했습니다. 물받이의 경우 화이트와 징크블랙을 조합해 설치한 모습입니다. 보편적으로 한 가지 색상을 사용하지만 건축주 분이 요청하신 사항입니다. 후면은 창이 별도로 없이 시공된 모습입니다. 뒤쪽이 산이라 채광이 되지 않기 때문에 벽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런 경우 벽에 이끼가 드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지형을 잘 보고 건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현장의 경우 기초고 이미 설치되어서 별도의 자리를 잡지는 못했습니다. 현관문위에 처마를 만들고 바닥 높이에.. 2024. 10. 8. 10평 경량 철골 주택 제작 과정!!) 4. 창호 설치// 외장 시공과 단열, 중부 1지역 기준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경량 철골에 창을 설치 시 주의 사항을 확인하고, 외장과 단열을 어떻게 진행하지 알아보겠습니다. 1. 창호 설치 방법 창호의 설치는 2가지입니다. 벽에 설치하는 방식과 바닥에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사실 실제 설지 장면을 보면 바닥과 벽에 설치하는 방식을 구분하기는 힘듭니다. 우선 저희가 경량철골에 시공하는 방식은 벽에 시공하는 방식입니다. 보편적으로 미국식 창호에 많이 적용되는데 외국의 경우 목조를 이용한 주택이 많기 때문에 쉽게 벽에 설치가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건축 방식은 철근 콘크리트와 벽돌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벽에 시공하는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튼튼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바닥에 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죠. 사진을 보시면 벽 쪽에 피스를 이용해 고.. 2024. 9. 19. 10평 경량 철골 주택 제작 과정!!) 3. 복층 골조, 바닥 하부 골조 어떻게 해야할까? 보편적으로 복층의 경우 기본 골조와 동일하게 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제작하는 경우 중앙 부분이 내려앉거나 심하면 건축물이 변형되는 경우도 있죠. 오늘은 저희가 제작 중인 10평 경량 철골 주택의 복층구조와 바닥 철골 구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보시는 것과 같이 저희가 제작하는 복층 구조는 복층크기와 동일하게 철골을 용접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내용은 하부 기둥입니다. 3면은 벽과 붙어 있기 때문에 벽체에 용접하면 되지만 중앙 부분은 별도의 기둥을 설치하기가 힘들죠. 그래서 공사 전 가벽의 위치를 꼭 확인해 중앙 쪽에도 기둥이 들어가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위 사진과 같이 화장실 가벽 쪽으로 해서 중앙에 기둥이 설치된 모습입니다. 이렇게 가능하면 기둥을 많이 설.. 2024. 9. 12. 10평 경량 철골 주택 제작 과정!!) 2. 전체 골조 구성//가세(브레이스) 보강 기본골조의 구성은 세로 기둥과 가로 골조를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보편적으로 이 방식으로만 경량철골을 진행하는데 추가적으로 지붕에 와이어를 X자로 설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0평의 경우 그렇게 작업해도 무방하지만 저희가 하는 방식은 그보다 저 견고한 가세를 이용해 추가 보강을 하고 거기에 새시를 별도의 골조로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사진을 보면 상당히 많은 가로 골조와 가세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작업한 후 별도의 새시 골조를 추가로 설치하면 강도가 상당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공진현상이 덜합니다. 옆 이미지는 가세의 설치 장면입니다. 용접은 모두 줄용접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10평 규모의 주택이나 가설 건축물, 체류형 쉼터는 이런 식으로 작업하는 경우가 상당히 드물죠. 시간.. 2024. 9. 7. 10평 경량 철골 주택 제작 과정!!) 1. 기본 골조, 가위(시저) 트러스를 이용한 기둥 설치 이번에 현장에서 제작 중인 10평 주택을 참고하여 경량철골 구조를 제작하는 과정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고 소형 건축물 제작에 도움이 되고자 준비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둥과 지붕을 만들어 세울 때 트러스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10평 정도의 구조물은 사실 트러스까지 필요한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그렇다 하더라고 저희는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위 트러스를 사용해 천고를 최대한 확보합니다. 우선 기초 콘크리트에 건축물의 크기를 먹줄을 이용해 그려야 합니다. 이 과정은 정말 중요한데 이 도안을 기본으로 트러스, 베이스판, 기둥과 트러스의 조립 등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위 사진과 같이 먹줄에 기둥을 배치하고 트러스를 용접합니다. 이때 트러스와 기둥 끝이 맞는지 .. 2024. 9. 7. 농촌 체류형 쉼터에 적합한 가설 건축물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장/단점) 확실히 정리해 드립니다!! 12월에 시행되는 체류형 쉼터는 총면적 33㎡로 상당히 크죠. 일반적인 세컨드하우스로 많이 선호하는 10평으로 되어 있어 다양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럼 과연 어떤 제품이 가장 체류형 쉼터에 적합할까요? 각 분야의 건축방식과 장/단점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종류 기본적인 가설건축물은 목조와 철골로 진행이 됩니다. 철근콘크리트는 가능은 하지만 차후에 이동이나 철거에 상당히 불리하기 때문에 제외합니다. 목조 목조의 경우 가설 건축물에 적합합니다. 제작 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고, 중고로 판매하거나 혹은 철거에도 유리하죠. 그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점다양한 모양으로 가공이 쉽습니다. 구조가 나무이기 때문에 비교적 변형이 용이합니다. 수리가 용이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2024. 8. 6. 12월에 시행되는 농촌 체류형 쉼터!! 만들기 전에 확인해야 하는 필수 사항들!! 이번에 시행하는 농촌 체류형 쉼터를 많이 기대하시고 있으실 거예요. 그럼 간단하게 시행 내용을 확인해 보고 체류형 쉼터를 만들기 전에 확인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시행령 위의 내용은 농림축산 식품부에 올라온 내용입니다.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10평으로 제작 가능합니다. 사용기간은 최대 12년으로 3년 간격으로 3번 연장가능합니다. 데크/정화조/처마 등을 설치 가능하고 주차장도 설치 가능합니다. 지자체가 단지를 조성해 임대로 가능합니다. 자세항 사항은 저희 유튜브를 방문해 영상으로 확인해 보세요.https://www.youtube.com/watch?v=EdqD2u6imFU&t=49s 이렇게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체류형 쉼터 제작 시 고려 사항에 대해 문답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1... 2024. 8. 5. 컨테이너/목조/경량철골 농막을 주택//근린생활시설, 준공용 건물로 변경하는 과정!! 요즘 전원주택이나 체류형 쉼터가 관심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기존에 사용하던 전이나 임야를 전용해 집을 짓거나 기존에 소유한 대지가 가설건축물이 안 되는 지역으로 변하여 건축이 필요한 경우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러한 토지에서 사용하던 농막이나 가설건축물을 일반 준공용 건축물로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준공방법 요약설계건설사 선정착공토목공사건설공사한전전기 신고정화조/상수도 공사준공신고 위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내용은 건설공사입니다. 기타 다른 내용은 신축과 동일하기 때문에 어디서든 정보를 습득할 수 있지만 건축은 다릅니다. 기존의 가설 건축물을 준공용으로 변경하는 경우 우선 철거가 먼저입니다. 여기서 기존에 설치된 건축물의 골조가 매우 중요합.. 2024. 7. 23.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