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축 이야기(농막, 체류형 쉼터, 일반 건축물, 증축, 골조 제작 등)/농막,체류형 쉼터,가설 건축물39

가설 건축물 단열 기준!? 어디까지 해야 할까?? 원론적으로 가설 건축물(농막)은 법적인 단열기준이 없습니다. 하지만 보편적으로 농막으로 사용하는 경우 단열을 신경 쓰기 때문에 많이 문의하시는 것이 어느 정도 단열을 해야 할까입니다.   그럼 과연 가설 건축물은 어느 정도 단열을 해야 할까요?지역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지역입니다. 전국을 돌아다니며 느낀 거지만 남쪽과 북쪽의 온도차는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설건축물을 어느 지역에 설치하느냐가 중요하죠.   우선 수도권/강원도 지역은 기본적으로 나 등급 이상 110mm 정도는 해야 체감이 되는 수준입니다. 단열 규정상 중부 1 지역은 가 등급 200mm 이상이지만 냉/난방기를 사용한다고 하면 나 등급 110mm 정도면 사용에 크게 불편하지 않습니다.    충청도와 경북/전북 지역은 다 등급 110m.. 2024. 4. 3.
1가구 2주택, 농막 / 체류형 쉼터도 들어가나요? 어디까지 다주택 자가 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닙니다. 아닌 이유는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농막을 만드는데 2 주택이 될까 봐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럼 어떤 경우가 2 주택에 들어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가구 2 주택 기준 가장 보편적으로 수도권은 1억 미만의 주택, 지방은 3억 미만의 주택이 합산 주택 수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또한 인구 감소지역의 주택은 금액의 상관없이 주택합산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기준이 있지만 농막을 하거나 혹은 지방에 소형 건축물을 준공해 2 주택을 걱정하시는 경우는 위의 내용만 확인해도 문제가 없죠. 농막 / 체류형 쉼터가 좋을까? 일반건축물이 좋을까? 금액적 여유가 된다면 당연히 일반건축물이 좋습니다. 하지만 대략적으로 비교해도 농막과 일반 건축물의 금액 차이는 약 40%.. 2024. 3. 13.
농막 / 체류형 쉼터를 주택으로 변경하는 가장 좋은 방법!! 농막을 사용하다 건축을 진행하는 경우 사용하던 농막을  처리하기 곤란한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저희가 제작한 농막을 건축을 하게 되어 다시 매입을 원하는 고객님들도 많았죠.  그런 이유로 저번 포스팅에서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농막 제작 시 건축기준에 맞게 제작하는 걸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가격이죠. 평균 제작 단가가 평당 450만 원 정도 보면 6평 기준 2700만 원으로 보면 농막으로 하기에는 비싸죠.   물론 저희는 2000만 원에 제작이 가능하지만 현재 농막을 보유하고 계신 분들이 있을 거예요. 그럼 그분들의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추가공정은 필연적입니다. 당연하겠지만 처음에 주택기준으로 제작이 되어 있지 않다면 추가 공정이 필요합니다. 분야 별로 알아보면,단열/골조공사입니다... 2024. 2. 16.
텃밭 주택(체류형 쉼터) 필요한 a~z까지, 어떻게 해도 이득인 건축!! 지금 확인해보세요. 체류형 쉼터가 올해 12월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최초 텃밭 주택으로 시간된 모델로 1년이 조금 넘어 시행이 진행되기 때문에 잘 알고 진행하는 것이 좋죠.  체류형 쉼터 a~z까지 모두 확인해서 최적의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정답은 아니라도 해답은 보일 거라 장담합니다.소형 근린생활 시설이 좋을까? 농막 / 체류형 쉼터가 좋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체류형 쉼터를 하셔야 합니다. 소형 주택의 경우 우선 전용이 조건입니다. 농지의 경우 대지로 변경해야 합니다. 당연히 가능한 땅이어야 하죠. 거기에 전용 비용과 행정 처리 문제까지 신경 써야 할 내용이 많습니다.  간편하게 전원생활을 체험하려고 생각하신 분들에게는 부담입니다. 우선 체류형 쉼터를 설치하고 3년 동안 전원생활 체험을 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나중.. 2024. 1. 15.
대지에 10평정도 가설건축물 짓기 전에 체크할 사항 ※대지에 가설건축물을 짓기 전에 꼭 확인해야 내 돈과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체크 리스트입니다.  끝까지 참고 하셔서 자신의 돈과 시간을 지키세요.질문 1. 대지에 가설 건축물은 몇 평까지 가능한가요?사실 대지는 가설건축물 크기 조건이 없습니다. 원하시는 개수나 크기로 건축이 가능합니다. 다만 가설건축물은 지자체에서 관리하고 조례를 따르기 때문에 건축 전 규정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질문 2. 가설 건축물에 수도나 전기, 화장실 등이 설치가 가능한가요?건축법상 가설 건축물에는 수도와 화장실은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전기는 가능하죠. 하지만 역시 이와 관련된 내용은 조례를 따르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는 용도에 따라 수도/정화조(화장실)/취사 시설을 설치하게 합니다. 질문 3. 가설 건축물에서 숙박이나 생.. 2024. 1. 7.
가설건축물 전기 공사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농막전기 설치방법) 일반 주택의 경우 사실 전기 공사를 신경 쓸 일이 없다. 공사업체에서 알아서 한전규격에 맞도록 제작하기 때문이다. 하지 마 가설 건축물의 경우는 다르다. 가설 건축물은 기본적인 내용 이외에 따로 건축 규정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신경을 안 쓰는 경우가 많은데 그럼 나중에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전기공사를 어떻게 해야 하지?? 우선 한전전기를 연결하려면 그에 맞는 전기선 규격과 내부관을 맞춰야 한다. 보편적으로 2.5sq의 전선을 사용하고 피복은 hiv를 많이 사용한다. 또한 내부에 전선이 통과하는 관은 플렉시블(후렉스블) 관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규정은 변경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    처음에 가설 건축물을 제작할 때 위의 내용을 꼭 확인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가설건축물은 특별한 규정이 없기 때문.. 2023. 12. 27.
가설건축물축조신고서 보다 더 중요한 건 바로 이것!! 가설 건축물은 일반적으로 대지에 설치를 하지만 농지는 농막, 임야는 관리 사무실 등 대지 외 땅에 설치해도 가설 건축물 축조신고를 해야 한다. 하지만 일반 분들은 가설건축물 축조신고를 마치 건축허가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지 않다.   막상 시청에 가서 신고하면 별것 없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혹시 가설건축물축조신고를 대행하는 것은 하지 않길 바란다. 여기서 잠깐!! 대지에 가설건축물을 짓기 전 꼭 확인해야할 체크 리스트~ 대지에 10평정도 가설건축물 짓기 전에 체크할 사항대지에 가설건축물을 짓기 전에 꼭 확인해야 내 돈과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체크 리스트입니다. 끝까지 참고 하셔서 자신의 돈과 시간을 지키세요. 질문 1. 대지에 가설 건축물은 몇 평까지 가능skyship.tistory... 2023. 12. 16.
가설 건축물은 무조건 이걸로 해야 한다. 가설 건축물은 임시로 설치하는 건물로 임시 휴게소, 임시 창고, 임시 숙소, 임야 관리사무소, 농막 등 다양하다. 이런 가설 건축물은 건축하는데 특별한 규제가 없기 때문에 형식이 자유롭다.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방식으로 건축을 하면 나중에 큰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다. 가설 건축물은 어떤 형식이 좋은가? 결론부터 말하면 컨테이너가 가장 적합하다. 가설 건축물은 별다른 건축 규정이 없고 형식도 자유로워 많은 분들이 선호하지만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첫 번째는 3년 기간제라는 것이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3년마다 갱신해 사용하면 된다고 하겠지만 사실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대지에 설치하는 가설 건축물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대로 임시로 사용하는 이유로 3년 안에 관련 건물을 건설해야 한다.  예를.. 2023. 12. 12.
가설건축물 신고, 안되면 이렇게 해보세요!! 가설 건축물 설치 관련 글을 올리고 문의 오는 대부분이 관할 지자체에서 신고를 안 받아 준다는 내용이다. 이유를 들어보면 정말 가지 각색이다. 준공허가(?) 건이 없어서 안된다고 하거나(이기 무슨 상관인지....) 농지가 아니어서 안된다고 하거나(농막이라 헷갈린 듯 ㅎㅎ) 본인은 가설건축물이 안된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이야기를 듣다 보면 정말 공무원들 성향은 보수적이란 걸 알 수 있다. 예전에 한번 해본 경험으로 그렇게만 해야 되는 줄 아는 것 같다. 그런 이유로 이렇게 해보라고 권해본다.관련법안을 확인해 정확히 따진다. 의외로 관련 법안과는 다른 내용을 안내받고도 그냥 받아들이는 경우가 상당수이다. 그도 그럴 것이 공무원이 그렇다고 하는데 누가 거기에 아니라고 하겠는가, 또한 신고하는 사람 대.. 2023. 11. 28.
돈 버는 가설 건축물(농막편) 설치하는 법 2번째 농막은 농지에 설치하는 가설 건축물입니다. 그런 농막을 어떻게 하면 돈은 못 벌어도 손해는 안 보는지 알아고보 불법과 합법의 경계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개발구역 내에 있는 농지를 구입하라. 농지는 농사 용도 이외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어서 특별한 개발행위를 할 수 없습니다. 그런 이유로 개발 행위를 할 경우 용도를 변경해 지목을 대지로 해야 합니다. 하지만 그러기에는 부담스럽고 농막정도 두고 취미로 소규모 농사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죠. 그러한 경우에 토지 구입이 중요합니다.  즉 용도 변경이 가능한 토지를 구입하고 농막을 설치하며 차후에 매입할 때 주택 건축을 목적으로 구입하는 경우에도 추가 요인이 되어 가격 방어가 좋습니다. 또한 주택을 목적으로 하더라도 우선적으로 생활을 해보고 싶은 분들이 많기 때문.. 2023. 3. 31.
반응형